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외국인 근로자의 대출 현실과 대응 전략
    금융상식 및 규제, 신용관리 2025. 7. 18. 02:48

    “5년 넘게 성실히 근무하고 월급도 꼬박꼬박 받는데, 대출은 왜 안 될까?”
    “체류자격도 있고, 연체도 없는데... 한국인은 아니니까 안 되는 건가요?”

    한국에서 체류하며 근로하는 외국인 노동자는
    전체 인구 대비 5%가 넘는 수준으로 늘었지만,
    정작 금융권에선 여전히 ‘비표준 고객’으로 분류되고 있다.

     

    신용점수, 근무이력, 재직확인, 소득증빙 등
    대출에 필요한 기본 정보들이 한국 신용평가 시스템에선 불완전하거나 누락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정상적 금융 접근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엔
    일부 저축은행, 캐피탈, 핀테크 플랫폼을 중심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대안 상품이나 심사 기준이 등장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외국인 근로자가 대출에서 겪는 주요 장벽과,
    실제로 활용 가능한 우회 경로,
    그리고 향후 제도 개선 방향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본다.

     

    현재 금융 제도 하 외국인의 금융 진입 가능성 제고 전략

     

    외국인이 대출을 받기 어려운 4가지 이유

    현재 제도에서 외국인의 금융 진입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신용평가를 위한 정보 부족이다.

     

    1. 한국 내 금융이력 부족


    외국인은 한국 신용조회회사(KCB, NICE)에 등록된 금융거래 이력이 거의 없다.
    카드 발급, 통신요금 자동이체, 공과금 납부 이력 등이 부족해
    ‘씬파일러’보다 더 평가가 어렵다.

     

    2. 체류 기간 제한 및 신분 불안정성

     

    대출은 보통 ‘장기 상환’이 기본인데,
    외국인은 체류 기간이 짧거나,
    F1·H2 등 일부 체류자격의 경우 체류 연장이 보장되지 않아
    금융기관 입장에선 리스크가 크다고 판단하게 된다.

     

    3. 재직 및 소득 확인 불가

     

    일부 외국인 근로자는 고용허가제(E-9)를 통해 제조업에 근무하지만,
    임금이 현금으로 지급되거나, 재직확인서 발급이 불가능한 구조로 돼 있어
    대출 심사에서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지 못한다.

     

    4. 외국인등록증 외 신원 확인 서류 부족


    한국 주민등록번호 체계에 등록되지 않기 때문에
    금융사 전산상으로는 기본정보 등록 자체가 안 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로 인해 온라인 대출 플랫폼, 자동화 시스템에서는
    아예 외국인 신청을 차단하기도 한다.

     

    외국인의 금융 접근이 가능한 곳은 어디인가?

    1. 외국인 전용 대출 운영 저축은행


    일부 저축은행은
    외국인 등록증 + 재직증명서 + 외국인 전용 통장을 기준으로
    외국인 대상 소액 신용대출을 운영한다.
    예: OK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일부 지점 등

    이 경우 최대 300만~500만 원 한도로
    ‘내국인과 동일한 조건은 아니지만,
    소득·체류기간 요건을 만족하면 승인’ 가능성이 있다.

     

    2. 외국인 대상 햇살론 유사상품

     

    서민금융진흥원은 공식적으로 외국인을 지원하지 않지만,
    일부 사회적 금융기관이나 대안금융 플랫폼(예: 프렌드펀드, 파이낸셜프렌즈)에서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햇살론 유사 구조의 대출을 시범 운영 중이다.

    이들 기관은 주로

    • 고용확인서
    • 체류기간 1년 이상
    • 급여통장 실적 6개월 이상
      등을 기준으로 심사를 진행한다.

    3. 핀테크 기반 외국인 신용평가 플랫폼(준비 중)

     

    최근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 중 일부는
    외국인 대상의 ‘대체신용평가 모델’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통신비, 송금 이력, 고용센터 출입기록 등을 점수화하여
    대출 가능성을 모색하는 구조다.

    아직 본격적으로 도입된 곳은 없지만
    이르면 2025년 중 시범사업이 추진될 가능성도 있다.

     

    대출 외 가능한 지원 경로는?

    외국인이라고 해서 모든 금융지원에서 제외되는 건 아니다.
    아래 제도들은 ‘금융 대출은 아니지만’,
    비상시 생계자금, 주거자금 등의 형태로 실질적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복지기금
      : 서울·경기·부산 등에서는 외국인 근로자 복지기금으로
      소액 긴급생활자금, 병원비 지원, 주거 지원 등을 운영 중이다.
    • 체류지원센터 긴급지원제도
      :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에서 일시 실직, 질병 등 위기상황에 대한
      긴급자금 지원, 기숙사 임대료 지원 등을 신청 가능하다.
    • 외국인 특화은행(신한, 우리은행 일부 지점)
      : 필리핀,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등 모국에 송금 실적이 일정 이상 있을 경우
      전용 소액대출 상품 제안 가능

    대응 전략: 외국인이 준비해야 할 체크리스트

    외국인이라도, 아래 요건을 갖추면 일부 금융 진입 가능성이 열린다.

     

    1. 고용센터 확인서 또는 재직증명서 확보
    → 고용계약서가 없다면, 고용센터에서 확인서를 받아 제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급여통장 실적 6개월 이상 유지
    → 통장에 급여 이체 기록이 6개월 이상 쌓이면 일부 금융사 내부 평가지표에 ‘소득 안정성’으로 인정된다.

     

    3. 통신요금 자동이체, 공과금 이력 확보
    → 마이데이터 활용이 어려운 외국인에게 가장 쉬운 신용 신뢰도 확보 수단이다.

     

    4. 외국인 전용 계좌·모바일앱 활용
    → KB국민, 신한, 농협 등 외국인 대상 앱을 통해 신분 확인 및 금융 이력 연동을 미리 구축해둘 수 있다.

     

     

    외국인 근로자도 한국 사회에서
    일정한 경제활동을 하고, 세금과 보험료를 납부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지금의 금융 시스템은
    이들에게 너무 좁고, 단선적인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축은행, 대안금융, 지역 복지기금 등을 활용하면 부분적으로나마 ‘금융 접근권’을 확보할 수 있다.

     

    앞으로 금융기관도

    • 이들의 체류 안정성
    • 소득 흐름
    • 성실 납부 이력 등을
      하나의 신용 자산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지금 당장 대출이 어려워도,
    금융이력을 정리하고 쌓아두면
    외국인도 한국 금융권 안에서
    ‘신용으로 인정받는 삶’을 만들어갈 수 있다.

Designed by Tistory.